CPI에 이어 PPI의 둔화세도 확인됐다. 이 둘은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데 쓰이는 대표적 지표다. 고금리를 포함한 긴축 통화정책은 인플레이션을 막고자 시행되기에, 인플레이션의 둔화는 긴축 통화정책의 끝을 암시한다. CPI(소비자물가지수)와 PPI(생산자물가지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증시의 향방을 점치자.
CPI(소비자물가지수)
CPI란?
CPI(Consumer Price Index)는 우리말로 소비자물가지수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일정한 생활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소득·소비 금액의 변동을 측정한다. 일상에서 구입하는 상품·서비스 가격 변동을 조사해 나타내는 것. 코어 CPI와의 비교 측면에서 헤드라인 CPI라고도 불린다.
미국의 전월 대비 CPI
코로나19 때는 경기침체를 겪으며 전월 대비 CPI가 마이너스(-)였다가, 이후 연준의 확대 통화정책에 힘입어 플러스(+)로 돌아섰다. 연준은 2022년 3월부터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했고 그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는 중이다. 아직 CPI가 하락하는 건 아니고, 상승률이 하락하는 것이라는 점은 알아둬야 한다.
근원 CPI
코어 CPI로도 불리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ore Consumer Price Index)는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상품·서비스 가격 변동을 나타낸다. 변동성이 크고 정책으로 통제할 수 없는 둘을 제외하면 물가와 정책 효과를 더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는 것.
PPI(생산자물가지수)
PPI란?
PPI(Producer Price Index)는 우리말로 생산자물가지수. CPI는 소비자 구매 가격에, PPI는 제조업자의 판매 가격에 초점을 맞춘다. 때문에 CPI의 선행지표로 여겨진다. 흔히 CPI를 짜장면 가격으로, PPI를 밀가루 가격으로 비유하곤 한다.
미국의 전월 대비 PPI
미국의 PPI는 3년 만에 최대폭으로 하락했다.
근원 PPI
근원 CPI와 동일한 맥락이다.
종합 및 증시 전망
에너지 가격 하락이 인플레이션 둔화로?
헤드라인 CPI 상승은 둔화됐지만 코어 CPI는 아니다. 이는 3월 물가 하락이 에너지 가격 하락에 근거하고 있다는 뜻. 에너지 가격이야 변동성이 커 언제 오를지 모르니, 사실상 인플레이션 둔화는 허울뿐일 수 있다.
다만 이어진 발표에서 PPI 하락과 코어 PPI의 시장 전망치보다 낮은 상승률이 나온 덕에 증시가 한숨 돌린 것으로 보인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4%, S&P500지수는 1.33%, 그리고 나스닥지수는 1.99% 상승했다.
국내 증시 전망은?
일단 인플레이션 둔화 쪽으로 의견이 쏠리는 모양. 자연스레 연준의 긴축 기조도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 환율이 하락세라는 점에서 외국인 수급까지 고려하면 국장도 봄을 맞을 수 있지 않을까 싶은. 그래도 꽃샘추위를 조심할 필요는 있다. 미국 주요 은행들의 실적에 따라, 꾸역꾸역 막았던 SVB발 은행위기가 가시화되어 경기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
봄? 아니면 다시 겨울?
'경제 > 경제 이슈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G증권발 주가 급락 사태, 배경과 영향 (4) | 2023.04.27 |
---|---|
물가는 왜 오르기만 할까? (6) | 2023.04.19 |
한화-대우조선 합병 이유 및 현황 (4) | 2023.04.13 |
R의 공포와 C의 공포? (3) | 2023.04.11 |
블랙먼데이(Black Monday)의 정의와 유래 (2) | 202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