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9

코스피 급락과 네거티브 감마

지난 글에서 감마 익스포저가 양으로 큰 값이라 폭락 가능성은 적어보인다고 언급했으나 이틀 만에 4%대 급락이 나옴. 언론에서는 미국과의 고율 관세 합의, 정부의 세법 개정안 발표를 원인으로 꼽음. 키움증권은 앞선 국내 요인들과 더불어 미 연준의 9월 금리인하 기대감 후퇴와 아마존 실적 가이던스 부진, AI주 약세 등 국외 요인들을 언급하기도. https://mcguffin.tistory.com/155 K200 감마 익스포저(GEX)와 급락 가능성최근 국장은 대내외적 악재에도 상당한 회복력을 보여주며 상승 추세를 이어가는 중. 개인은 추세와 반대로 최근 3개월 동안 인버스와 곱버스 ETF를 1조원 이상 매수했는데 현 상황에서 과격한mcguffin.tistory.comGEX 7월 31일(목)아래는 수요일 ..

Study/Market 2025.08.01

K200 감마 익스포저(GEX)와 급락 가능성

최근 국장은 대내외적 악재에도 상당한 회복력을 보여주며 상승 추세를 이어가는 중. 개인은 추세와 반대로 최근 3개월 동안 인버스와 곱버스 ETF를 1조원 이상 매수했는데 현 상황에서 과격한 폭락이 나올 가능성은 적어보임. 급락장마다 언급되는 시장조성자(MM)의 델타 헷징과 시장 감마 익스포저를 알아보며 시장 흐름을 읽는 것이 목표.MM의 델타 헷징 시장조성자는 거래상대방의 옵션 매매에 응하면서 델타가 열린 포지션을 갖게 되고 그 즉시 현물 매매를 통해 델타를 뉴트럴하게 맞춰야 함. 델타를 열어두면 방향성 리스크로 큰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 이때 델타의 사이즈는 MM이 델타 중립을 위해 얼만큼 현물을 매매해야 하는지를 의미함. 감마가 클수록 기초자산 가격 변동에 따라 델타의 사이즈는 급변하게 되고 그에..

Study/Market 2025.07.30

매매일지_250403

전일 미장은 상호관세 발표 대기하며 3대 주가지수 동반 상승세로 마감했으나, 새벽 5시 관세 임팩트가 커서 나스닥 선물 급락함. 한국시간으로 낮 동안 반등하나 싶더니 개장 전 다시 급락. 모든 국가에 10%의 보편관세가 부과될 뿐 아니라 외국산 자동차에는 25% 관세 부과. 중국 34%, 일본 24%, EU 20%, 인도 26%, 한국 25% 등 60여개 개별 국가들에 개별 상호 보복관세가 부과됨. 베센트는 이번에 발표한 게 상한선이라고 낮출 여지 있음을 시사함. 키움증권에서는 추후 협상에 따라 관세 수위가 낮아지며 저점을 높여나갈 것으로 전망.국내 증시 금일 국장 급락 출발했으나 개인의 현물 매수, 기관의 현선물 매수에 낙폭 회복하는 그림 나타남. 전일 외인이 콜옵션을 130억 팔고 풋옵션도 90억 가..

Trading/Daily 2025.04.03

매매일지_250401

전일 미장은 전저점 갱신을 앞두고 저가 매수세 유입에 따른 혼조세로 마감. 이날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오는 4월 2일 관세 발표에 국가별 관세가 포함될 예정이라 밝힘. 시장은 예상보다 높은 상호관세율 및 보편관세 가능성을 경계하는 중. 월간 기준으로 3대 주가지수 모두 2개월 연속 하락세. 필수소비재 상승률이 1.63%로 가장 컸으며 금융과 에너지, 소재, 유틸리티도 좋았음. 일각에서는 패닉셀의 모든 요소가 갖춰졌으며 이는 급반등 랠리를 부를 수도 있다고 분석하기도. VIX는 2.91% 상승한 22.28 기록.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0.40bp 오른 3.912%, 10년물은 0.90bp 내린 4.246%에 거래되며 플래트닝. 장 초반 증시 급락에 위험 회피 심리 강해지며 매수세 붙었으나 위험 선호 심리..

Trading/Daily 2025.04.01

매매일지_250331

전일 뉴욕증시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로 투매 나오며 3대 주가지수 동반 하락. 2월 근원 PCE가 전월 대비 0.4% 상승(vs 컨센 0.3%)하며 작년 1월 이후 가장 강한 오름세 나타냈고 헤드라인은 0.3% 상승으로 예상치 부합. 미시간대 3월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는 57.0으로 예비치 대비 0.9p 하향 조정되며 2022년 11월 이후 최저치 기록. 1년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는 0.1%p 상향된 5.0%, 5-10년 기대 인플레는 0.2%p 상향된 4.1% 기록. 5-10년 기대 인플레는 1993년 2월 이후 최고치.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9.00bp 하락한 3.908%, 10년물은 11.40bp 급락한 4.255%에 거래되며 불 플래트닝. 시장은 소비가 거의 늘어나지 않았다는데 주목. 경기는 차..

Trading/Daily 2025.03.31

매매일지_250328

전일 미장 3대 주가지수 이틀 연속 동반 하락. 전일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 부과 소식에 주가 하방 압력 받는 모양. 이후에도 EU와 캐나다가 양자 간 무역 확대로 미국의 관세 압박 회피할 시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으름장 놓음. 반면 상호관세에 대해서는 매우 관대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오락가락하는 모습.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1.40bp 하락한 3.998%, 10년물은 3.10bp 상승한 4.369% 기록하며 스티프닝. 시장은 상반기 금리 동결 가능성을 31.2%에서 36.9%로 높여 반영. 달러-엔은 0.317% 상승한 151.047엔, 유로-달러는 0.405% 상승한 1.07948에 거래되며 달러 약세 나타남. 트럼프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른 급락분을 되돌림. WTI는 0.39% 상승한 69.9..

Trading/Daily 2025.03.29

매매일지_250327

전일 뉴욕증시는 상승세를 멈추고 하락.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 발표를 앞두고 경계감 고조됐으며 구리 수입품에 대한 관세가 예상보다 빠르게 부과될 수 있다는 소식 전해짐. 연준 안에서 관세의 중장기적 영향을 우려하는 매파적 발언 나온 것도 영향 미친 듯. 지난 2월 내구재수주는 +0.9%(vs 컨센 -1%) 증가했으나 기업투자 선행지표로 여겨지는 비국방 자본재수주는 -0.3%(vs 컨센 +0.2%) 감소. S&P500은 -1.12% 하락, 나스닥은 -2.04% 하락함.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0.90bp 상승한 4.012%, 10년물은 3.10bp 상승한 4.338% 기록하며 베어 스티프닝. 달러-엔은 0.473% 상승한 150.569엔, 유로-달러는 0.409% 하락한 1.07513달러. 트럼프의 관세 리..

Trading/Daily 2025.03.27

매매일지_250325

전일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 2거래일 연속 동반 상승. 4월 2일 발효될 미국의 상호관세가 생각보다 축소될 수 있다는 소식에 낙관론 확산. S&P 글로벌에 따르면 3월 서비스업 PMI 예비치는 54.3(vs 컨센 50.8)으로 3개월 만의 최고치 기록. 반면 제조업 PMI 예비치는 49.8(vs 컨센 51.8)로 3개월 만의 최저치 기록했는데 시장은 서비스업 업황에 더 주목. S&P글로벌의 경제 이코노미스트는 경제 전망에 대한 신뢰가 2022년 10월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수준까지 내려왔다고 진단.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8.70bp 상승한 4.307%, 10년물 금리는 8.00bp 상승한 4.332% 기록하며 베어 플래트닝. 위험선호 심리 확산과 회사채 발행 물량 쏟아진 점 등이 영향을 미침. 래피얼 ..

Trading/Daily 2025.03.25

매매일지_250324

전일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 동반 하락 하루 만에 반등. 네 마녀의 날로 약세 출발했으나 저가 매수세 유입 및 트럼프의 유연성 발언에 위험선호 심리 자극 받은 영향. 트럼프는 이날 4월 2일이 미국 해방의 날이라며 상호관세 부과를 재확인했으나 유연성을 언급하며 협상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함.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0.50bp 낮아진 3.950%, 10년물은 1.80bp 상승한 4.252% 기록하며 스티프닝.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QT 속도 둔화에 반대하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힘. 길트 중장기물 수익률이 공공부문 적자 우려에 크게 뛴 것도 영향. 시장은 5월까지의 금리 동결 가능성을 살짝 낮춘 83.7%로, 상반기 금리 동결 가능성을 21.6%로 낮춰 반영. 유로-달러는 0.325% 하락한 1.08..

Trading/Daily 2025.03.24

매매일지_250321

전일 뉴욕증시는 연준 풋 약화되며 3대 주가지수 동반 하락. 오후 장으로 가며 힘을 잃은 모습. BOE는 매파적 금리 동결 단행했고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의 발언에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거론됨. 트럼프가 상호 관세 발효일로 못 박은 4월 2일까지 관세 불확실성 유지되는 상황. EU는 미국에 대한 1단계 보복관세 부과 시점을 연기하기로. 당초 4월 1일과 13일 두 차례였으나 4월 2일 미국 상호 관세 발효 이후 대응하는 것으로 계획을 수정함. 미 국채 2년물은 2.20bp 낮아진 3.955%, 10년물은 2.30bp 하락한 4.234% 기록. 한때 매수세 유입되며 위험선호 분위기 되돌려지는 장세 나왔으나 BOE 금리 동결 및 미국 경제지표 발표에 국채금리 반등. 미 노동부에 따르면 주간 신규 실업..

Trading/Daily 2025.03.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