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ro 4

BOJ와 FOMC를 앞두고

BOJ 컨센서스는 기준금리 동결. 일본 언론은 지난 1월 0.25%에서 0.5%로 금리를 올린 후 경제적 영향을 평가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이번에는 추가 금리 인상을 유보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함. 시장은 이번 금리결정보다 다음 인상 시기에 대한 신호를 주의깊게 보고 있음. 일단은 인플레이션이 2% 목표로 꾸준히 가고 있고 임금 인상까지 받쳐주는 분위기라 빠르면 5월, 아니면 7월을 예상하는 상황. 일본 최대 노조 조직 '렌고'가 봄철 임금 협상 춘투에서 평균 임금 인상률이 5.46%로 집계됐다고 밝힌 바 있음.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7월 금리인상에 따른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증시 블랙먼데이에 기여한 바 있었는데 이번엔 그 가능성이 적다는 분석. 엔화 절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엔화 선물환 포지션이..

Macro 2025.03.18

미국-우크라이나 광물 협정의 배경과 영향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광물 협정 타결이 임박함. 트럼프는 일종의 청구서를 강경한 태도로 제시했고 젤렌스키가 울며 겨자먹기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보임. 미 국무부가 중국 공식 호칭을 변경하며 향후 양국 관계 악화 가능성이 나오는 가운데, 이번 협정 이후 핵심 광물 공급망에 어떤 변화가 생기고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의깊게 볼 필요가 있을 듯. 광물 협정 배경 및 내용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현황트럼프는 전쟁 당사자인 우크라이나를 배제하고 러시아와 단독으로 종전 협상에 나선 바 있음. 이후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압박하며 친러시아 행보를 보이는데, 이는 경제적 이익 때문이라는 분석이 존재. 미국과 러시아의 무역은 미미한 편이었으나 대형 에너지 기업들이 러시아에 막대한 투자를 해왔고 소비재 및 기..

Macro 2025.02.24

미국 1월 CPI 발표 전 현황 정리

시장은 관세가 트럼프의 블러핑이라는 인식에 리스크 반영을 줄여가는 상황. 미중이 관세를 한 대씩 주고 받으면서 선반영 된 리스크를 일부 해소한 면도 있을 것. 개인적으로는 트럼프의 성향 및 감세 재원 마련의 맥락에서 봤을 때 시장의 리스크 반영 정도가 과소하다고 봄. 미 금리 관련 컨센서스는 파월 의장의 금리인하 속도 조절 스탠스가 유지될 것이며 물가는 소폭 둔화 흐름 나타낼 것으로 봄. 관세 전쟁 중국의 대미 보복관세지난 4일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 후 미중 협상 기대감이 생겼으나, 결국 이변 없이 중국도 예고대로 10일을 기점으로 미국에 대한 맞대응을 시작. 미국산 석탄과 LNG(액화천연가스)에 15%, 원유와 농기계, 대형차, 픽업트럭 등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는 ..

Macro 2025.02.10

트럼프 취임 이후 금융시장 동향 정리

시장은 트럼프 취임 이후 관세 정책 방향성을 주시하며 등락. 관세 부과할 거다, 유예할 거다 오락가락하며 불확실성 줄어드는 듯 보였으나 상호관세 언급하며 불확실성 증폭됨.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와 일자리법' 연장 정책을 두고 연방 부채 증폭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재원 마련을 위한 상호관세는 배수의 진처럼 보이는 만큼 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 트럼프 취임 이후 관세 위협 무르는 모양새트럼프는 지난 1월 21일 취임식 이후 생각보다 관세 정책을 서두르지 않는 모습을 보임. 덕분에 위험 선호 심리가 탄력을 받고 인플레이션 우려도 일부 후퇴. 곧이어 트럼프는 스위스 다보스 WEF 화상연설에서 기준금리와 유가 하락 압력을 넣은 바 있음. 스타게이트와 딥시크발 충격주식시장에서는 초대형 AI 인프라 ..

Macro 2025.02.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