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121

주가 변동성이 커지는 시기, 어닝시즌이란?

주가는 기업의 실적과 긴밀히 연관돼 있다. 돈 잘 버는 기업의 주식을 마다할 이유는 없으니. 실적 발표만 잘 쫓아가도 괜찮은 수익률을 낼 수 있을 것이다. 어닝시즌이란 무엇이고 언제인지, 왜 주가 변동성이 커지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어닝시즌이란? 어닝시즌(Earning Season)은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집중돼 있는 시기를 뜻한다. 실적시즌이라고도 부른다. 기업은 1년에 4번, 분기마다 실적을 발표하는데 현재는 1분기 어닝시즌이 다가오는 중이다. 어닝시즌은 언제? 어닝시즌이 정해져 있는 이유는 기업의 공시 의무 때문. 상장기업은 분기별 실적을 분기 마감 후 45일 이내에 공시해야 한다. 여느 지원이나 신청, 제출이 그러하듯 마감일 직전에 공시가 쏠리는 경향이 있다. 3개월 단위로 나눠져 있는 분기를 고..

Study/Historical 2023.04.02

어이없는 역대 만우절 장난 TOP 5

매년 만우절이면 기업과 단체, 개인에 이르기까지 너 나 할 것 없이 거짓말에 몰입한다. 미국의 경제 잡지 Forbes는 이 시기에 맞춰 만우절 장난 TOP 5를 발표.. 아. 아직 만우절이 아니다. 개인적으로 웃기고 흥미로운 사례들을 뽑아봤다. 마케팅에의 활용은 물론, 오로지 재미만을 추구하는 예시들도 많다. 간혹 안타까운 일들도 발생하지만. Brief 1. 해태의 바밤바 아니고 배뱀배 I 2022 2. 네이버웹툰 썸네일에 무슨 일이 I 2020 3. 스타크래프트의 새 종족 공개 I 2016 4. 피파온라인3, 김흥국 등장 I 2014 5. 빌 게이츠 피살? MBC의 오보 I 2003 번외. 일론 머스크와 기타 사례 1. 해태의 바밤바 아니고 배뱀배 이러고 진짜 출시했다. 올해인 2023년에는 배뱀배를 ..

Study/Historical 2023.03.30

SK이노베이션(096770) 주가 급등 배경 및 전망

SK이노베이션(096770)은 SK그룹 내 중간 지주회사로 석유, 화학, 배터리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들을 보유 중이다. 3월 30일(목) 공시를 통해 주주환원 방향성을 밝히며 장중 10%대의 주가 상승을 보여주고 있다. 공개매수를 통해 자사주를 취득하고, 그 대가로 배터리 회사인 SK온의 주식을 지급하겠다는 게 핵심. 주가 급등의 배경이 된 주주환원 정책에 대해 자세히 살핀 뒤 전망을 점쳐본다. 차트 박스권에서 횡보를 지속하던 중 주주환원 이슈로 솟아오른 모양새. 주주환원 검토 사항 공시 1. 주당 2,000원 현금배당 2024~2025년 배당 가이드라인으로 최소 주당 2,000원 수준의 현금배당을 검토 중이다. 2. SK온 IPO 연계 주주환원 방향 공개매수를 통해 시가총액 기준 10% 수준으로..

Study/Historical 2023.03.30

한화솔루션 거래정지 해제일과 이슈 팔로업

한화솔루션(009830)은 갤러리아 부문 인적분할을 결정하며 2월 27일부터 3월 30일까지 거래가 정지된 바 있다. 해제일은 3월 31일(금). 한화솔루션과 한화갤러리아로 변경상장 및 재상장되며 거래정지가 풀린다. 그간 있었던 이슈는 주가에 반영되지 못 했기에, 관련 사항을 정리하며 거래정지 해제 이후 주가가 어떻게 될지 예상해본다. 인적분할의 이유와 영향은 아래 글을 참고. 한화솔루션의 갤러리아 인적분할 이유와 영향 작년 9월부터 예고된 한화솔루션의 갤러리아 부문 인적분할이 내달 진행 예정이다. 2월 27일부터 3월 30일까지 한화솔루션 매매거래가 정지되며 3월 31일 한화솔루션과 한화갤러리아로 변경상장 mcguffin.tistory.com 종목분석 리포트 요약 거래 재개 후 기대되는 주가 신한투자증..

Study/Historical 2023.03.29

대한항공(003490)의 M&A 진행 상황

실내외 마스크가 해제되고 코로나19 종식이 가까워지자 항공 수요도 회복됐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선제적인 임직원 연봉 인상에 나섰다. 지난해 매출액이 역대 최대였다고 하니 무리도 아닐 것. 증권업계에서는 부정적 전망과 긍정적 전망이 공존하는 상태다. 큰 이슈였고 큰 이슈가 될 대한항공(003490)의 M&A 진행 상황을 알아두자. 대한항공의 인수 발표 아시아나항공의 부실화 한때 잘 나가던 아시아나항공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사업 확장에 힘입어 망해가기 시작한다. 정부는 아시아나항공을 살리기 위해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그러다 코로나19를 맞는다. 정부의 밑 빠진 독 떠넘기기 공적자금 투입은 독에 물을 붓는 것과 같다. 독에 물이 가득 차면 가져다 팔든, 누구를 주든 해야 한다..

Study/Historical 2023.03.28

사이비에 빠지지 않는 방법

Netflix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이 공개되고 한 종교단체가 넷플릭스와 MBC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내는 등 숱한 논란이 일고 있다. 길을 걷다가도 간혹 만날 수 있으니 그닥 먼 이야기가 아닐 터. 이단은 종교학적 개념이고 사이비는 사회학적 개념이라는 것을 알아둬야 한다. 무얼 믿는지야 각자에 달렸겠지만, 반사회적인 범죄는 지탄 받아 마땅하다. Brief 1. 외로움에 익숙해질 것 2. 맹목적인 믿음을 경계할 것 이단과 사이비의 차이 이단과 사이비의 핵심적인 차이는 반사회적 행위의 여부에 있다. 모든 사이비는 이단이나, 모든 이단이 사이비는 아니다. 이단은 종교학적 개념으로 정통 종교의 가르침을 부인·왜곡하는 것을 뜻한다. 반면 사이비는 사회학적 용어다. 종교를 내세워 성범죄나 납치, 폭행 등 반..

Study/Historical 2023.03.27

블랙먼데이(Black Monday)의 정의와 유래

금융위기가 대두될 때마다 월요일이면 언급되는 용어가 있다. 블랙먼데이(Black Monday)가 그것. 직역하자면 검은 월요일인데, 실제 있었던 사건이기도 하나 현재는 주가 폭락을 의미하는 말로 쓰인다. 블랙먼데이란 무엇이며 왜 이름 붙여지게 됐는지 정의와 유래를 살펴본다. 정의와 유래 블랙먼데이란? 월요일 증시가 대폭락을 맞으면 블랙먼데이라고 칭한다. 주말에는 개장을 안 해서 거래를 할 수 없다. 때문에 주말 동안의 이슈가 월요일에 반영되는데, 이슈가 대형 악재일 경우 폭락의 가능성이 커서 월요일에 대한 우려가 큰 게 아닐지. 유래 원래는 하나의 사건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1929년 10월 28일(월)에 미국 뉴욕 증시가 12.6% 하락하자 언론이 블랙먼데이라고 이름 붙였다. 월요일 전후로 주가 대폭락..

Study/Historical 2023.03.26

종목 분석 I 이녹스첨단소재(272290)

2차전지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와중, 신한투자증권은 다음 바통을 반도체 및 IT 섹터가 받을 거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그럴지는 모르겠으나 미리 알아봐서 나쁠 거 없다. 코스닥 종목, 이녹스첨단소재(272290)를 분석해본다. 기업 개요 주요 사업 내용 IT소재를 만들어 판다. IT소재라 함은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 FPCB용 소재, 반도체 PKG용 소재 등이다. 핵심은 OLED와 FPCB, PKG를 직접 만드는 게 아니라, 만드는 데 필요한 소재를 공급한다는 점. 후방산업이다. 참고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는 전기회로기판으로 전자기기의 핵심 부품이다.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을 위해서는 AP나 CPU에서 어떤 화면을 내보낼지 결정하는데, 이..

Study/Historical 2023.03.25

파이썬에서의 변수(variable)와 함수(function)

코딩을 온전히 활용하려면 기초 지식이 뒷받침돼야 한다. 코드만 긁어서 쓰겠다는 것은 외국에 나가서 네비게이션만 보고 길 찾는 꼴. 어디에서 어떤 버스를 타고 어느 정류장에서 내릴지 알아야 목적지까지 갈 수 있다. 파이썬의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구성 요소, 변수(variable)와 함수(function)에 대해 알아보고 사용법을 익혀보자. 코드 작성의 2가지 기본 요소 변수(variable) 변수란? 수학적인 정의와는 다르다. 수학에서 변수는 여러 값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정의되지만, 파이썬에서는 특정한 값(value)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변수를 생성하는 방법 특정한 값을 할당해 변수를 생성할 수 있다. a = 8 위와 같이 입력하면, 8이라는 특정한 값이 할당된 a라는..

Study/Historical 2023.03.24

HMM 매각 및 민영화의 의미와 이유

해상에서 선박을 이용해 화물과 사람을 운송하는 해운업 회사 HMM(011200)의 매각 소식이 화제다. 누가 누구에게 기업을 판다는 말인가? 주식회사의 주인은 주주다. 주주들이 투자한 자금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다. 현재 논의되는 HMM 매각은 주요 주주인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가 지분을 매각한다는 의미다. 어째서 HMM 민영화라고 불리는지, 왜 이들이 지분을 팔려고 하는지 그 이유를 살펴본다. HMM의 흥망성쇠 정부가 업어 키운 HMM HMM은 현대상선(Hyundai Merchant Marine)에서 유래한 회사명이다. 현대그룹 계열사로서 잘 나가다가 2008년 금융위기와 해운업 불황을 만나 적자로 돌아선다. 2016년 국내 1위였던 한진해운이 파산하고 HMM도 존폐의 기로에 섰는데, 정부가 구해낸다. 대..

Study/Historical 2023.03.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