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121

서평 I 시장의 마법사들(Market Wizards)

한 차례 주식 붐이 휩쓸고 간 뒤, 부쩍 관련 책이 많이 보인다. 책도 엄연한 돈벌이 수단이기에 영양가 없는 책도 꽤나 있을 터. 주식을 그렇게 잘하면 그걸로 돈을 벌면 되지 굳이 책을 왜 쓰는가? 개중에는 정말 전문가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구미가 안 당긴다. 투자 관련 도서가 너무 많은 데에 싫증을 느꼈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고전, 시장의 마법사들(Market Wizards)이다. 시장의 마법사들 『시장의 마법사들』에는 월스트리트의 탑 트레이더들과 인터뷰집이다. 주식이나 (헤지)펀드를 포함한 각종 시장에서 막대한 수익을 올린 세계 최고의 트레이더 17인의 인터뷰가 수록되어 있다. 영국과 미국의 주식투자 및 헤지펀드 전문가 잭 슈웨거는 직접 발로 뛰는 인터뷰를 통해 월스트리트의 대가들을 정리하였다. ..

Study/Historical 2023.02.23

하이브와 카카오의 SM 인수전 배경

그야말로 뜨거운 감자다. 보통의 회사라면 이 정도까지는 아니겠지만 엔터테인먼트 사업 특성상 팬들이 얽혀 있어 더 큰 화제를 낳고 있다. 하이브와 카카오가 왜, 어떻게 SM을 인수하려고 하는지 그 배경을 살펴본다. 사건의 발단 SM과 라이크기획 SM 엔터테인먼트는 이수만이 설립한 연예기획사다. SM은 그의 이니셜이기도 하다. 이후 이수만은 경영진에게 전문경영을 맡기고 대주주로 남는다. 대신 개인 사업체인 라이크기획을 설립한 뒤 SM과의 계약을 통해 총괄 프로듀서라는 직함을 얻었다. 라이크기획은 SM의 일감을 받아 처리하고 매출액의 일정 부분을 수수료 명목으로 받는다. 영업이익이 아닌 매출 기준이라, SM이 적자를 낼 때도 라이크기획은 돈을 받는다. 이렇게 받은 금액이 연간 240억원. SM 연간 영업이익의..

Study/Historical 2023.02.22

디스플레이텍 상한가 매도, 옳은 결정일지

아침부터 헛웃음이 나왔다. 바로 어제인 20일(월), 디스플레이텍이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로 갖는 메리트가 떨어진다고 말했는데 바로 다음날 전기차 충전소 뉴스로 상한가를 쳤으니. 계획에 따라 매도하고 나왔으나 미처 보지 못 한 내용이 있는지 다시 확인한다. 잘못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발전을 위한 첫걸음이다. 차트 및 매매 일봉과 분봉 일봉으로는 23년 1월 4일 저점을 찍고 서서히 오르던 중 금일인 2월 21일 상한가를 찍었다. 분봉을 살펴보면 두 차례의 조정 이후 상한가를 찍고, 한 차례 더 조정을 준 후에 다시 상한가를 회복했다. 뉴스 기준으로 살펴보자. 시간 내용 09:06 +7.21% 09:14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기사 09:26 +20.24% 09:29 상한가 진입 매매 복기 시세를 확인했..

Study/Historical 2023.02.21

종목 분석 I 디스플레이텍(066670)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로 언급되는 코스닥 종목 디스플레이텍(066670). 뭐하는 기업이며 어떻게 돈을 버는지, 왜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로 여겨지는지 분석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관련주로서의 메리트는 약하다. 주요 사업 분야에서 신흥국의 성장에 따른 이익을 기대해볼 수 있을 정도. 전기차 시장 전반에 관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 전기차 시장, 현황 및 가능성 최초의 전기차는 1800년대에 발명됐다. 다만 실용성이 부족해 대중화되지 못하다가 환경보호·자원고갈 등의 문제로 다시금 뜨는 추세. 친환경을 업고 큰 흐름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전기차 mcguffin.tistory.com 주가 현황 2023년 1월 4일 4,070원으로 저점을 찍고 올라와 5,000원 정도에 거래 중이다. 2월 16일에는 장중 ..

Study/Historical 2023.02.20

재벌집 막내아들 결말이 아쉬운 이유

갓 끝난 작품은 스포일러에 예민하지만 시간이 지난 뒤에는 그 중요성이 희석되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로운 글쓰기가 가능하다. 타장르 다른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재벌집 막내아들의 결말이 아쉬운 이유를 분석해본다. 재벌집 막내아들 결말 개요 대기업 고졸 직원이 억울한 사고를 당한 뒤 과거로 돌아가 재벌집의 막내아들로 제2의 삶을 살아가는 내용이다. 회빙환(회귀·빙의·환생) 코드라고 한다. 사실상 미래를 알고 있는 셈인 주인공은 신적인 존재로 기능한다. 대리만족과 통쾌함을 주는 이유다. 소설 원작과 드라마 소설 원작에서는 제2의 삶이 전생을 대체한다. 전생을 애도하는 혼자만의 장례식을 치르고 직접 재벌가 회장이 되어 전생의 복수를 이루는 것으로 이야기가 끝난다. 한편 드라마에서는 제2의 삶이 사실은 꿈이었고, 전..

Study/Historical 2023.02.17

한화솔루션의 갤러리아 인적분할 이유와 영향

작년 9월부터 예고된 한화솔루션의 갤러리아 부문 인적분할이 내달 진행 예정이다. 2월 27일부터 3월 30일까지 한화솔루션 매매거래가 정지되며 3월 31일 한화솔루션과 한화갤러리아로 변경상장 및 재상장된다. 인적분할이란 무엇이고 한화솔루션이 왜 인적분할을 하는지 표면적, 내면적 이유를 살펴 주가에 미칠 영향을 알아본다. 기업분할이란? 기업분할은 인수합병(M&A)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M&A가 기업의 덩치를 키우는 방법이라면, 기업분할은 기업의 덩치를 줄이는 방법이다. 회사의 일부 사업 부문을 분리해 독립된 회사를 세우는 조직개편 행위를 일컫는다.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인적분할과 물적분할 인적분할은 수평적 분할 방식으로, 존속회사와 분리회사가 완전히 독립된다. 분리된 만큼 기업의 가..

Study/Historical 2023.02.16

오아시스 상장 철회의 현실적 원인

공모가를 낮춰 상장을 강행할 거라는 예상이 틀렸다. 큰 원인은 수요예측 부진에 있겠지만 애당초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IPO를 진행한 것과 앞뒤가 안 맞는다. IPO 대어로 주목 받았던 오아시스가 상장을 철회하게 된 현실적 원인을 알아보자. 애초에 IPO를 진행한 이유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았음에도 IPO를 진행한 이유는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 1월 30일 중앙일보의 기사에서 왜 IPO 혹한기에 상장하냐는 질문에 안준형 대표는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적정 가치를 평가받아 중장기적으로 보고 가겠다는 것이었다. 한겨레에서는 상장을 미룬다고 해도 언제 시장이 좋아질 거라는 보장이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대표의 말만 보면 강력한 상장 의지가 드러난다. 예상과 다른 수요예측 부진 수요예측 부진은 오아시스의..

Study/Historical 2023.02.14

전기차 시장, 현황 및 가능성

최초의 전기차는 1800년대에 발명됐다. 다만 실용성이 부족해 대중화되지 못하다가 환경보호·자원고갈 등의 문제로 다시금 뜨는 추세. 친환경을 업고 큰 흐름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전기차 시장의 현황과 가능성에 대해 다뤄본다. 개요 가솔린차보다 먼저 제작된 전기차가 실용화되지 못한 이유로는 배터리가 무겁고, 충전 시간이 길며, 차 가격이 비싸다는 점 등이 지목된다. 기술 발전에 따라 해결될 수 있는 것들이다. 배터리 개선,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 생산단가 인하가 이루어지면 일반차와 동등한 선에서 경쟁이 가능하다. 전기차의 경쟁력 강화는 현재진행형이다. 크게 둘로 나눠볼 수 있다. 순수 전기로 가는 전기차, 그리고 휘발유나 디젤을 같이 사용하는 하이브리드차. 흔히 전기차 시장이라고 하면 이 둘을 포괄해..

Study/Historical 2023.02.13

공모주 오아시스 분석과 전망

이커머스 업체 오아시스는 2월 7-8일 수요예측을 마치고 14-15일 일반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다만 기관 수요예측 부진으로 상장 철회 가능성도 제기되는 중. 새벽배송 시장에서 유일한 흑자 기업이자 2023년 첫 IPO 대어로 주목 받은 오아시스가 상장에 성공할 수 있을지? IPO 진행 과정을 짚은 후, 뭐하는 기업이며 어떻게 돈을 버는지 분석하고 전망을 점쳐본다. IPO 진행 현황 수요예측을 통한 공모가 결정 공개시장에 주식을 내놓기 전, 즉 공모주 청약 전에 공모주의 가격을 정하기 위해 수요예측이 행해진다. 수요예측이란 기관투자자가 대표주관회사에 매입희망 수량과 가격을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과 대표주관회사의 협의하에 공모가격이 결정된다. 공모가 희망밴드는 35,000원~39,50..

Study/Historical 2023.02.12

시리즈 I 월스트리트에 한 방을: 게임스톱 사가

흥미로운 넷플릭스 시리즈가 있어 소개한다. 제목은 월스트리트에 한 방을: 게임스톱 사가(2022). 30-40분 내외의 영상 3편으로 구성돼 있다. 공매도와 기관투자자가 무엇인지, 주식시장의 비합리성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는 작품이다. 주식에 관심 있다면 한 번쯤 시청해볼 것을 추천한다. 요약 엑스박스, 플레이스테이션 등의 비디오 게임, 콘솔 등 게임 관련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 게임스톱(GameStop). 미국 전역에 소매 체인점을 둘 정도로 큰 기업이었으나 코로나19에 힘입어 망해가던 중이었다. 주가도 바닥을 쳤다. 기관투자자들은 게임스톱 주가 하락에 크게 베팅했다. 그런데 레딧이라는 SNS에서 이 소식이 퍼지며 개인투자자들 사이에 게임스톱 주식을 사는 게 하나의 밈(meme)이..

Study/Historical 2023.02.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