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Investment

시장에 지지 않는 싸움을 하자

What is McGuffin? 자세히보기

경제 51

공모주 청약 절차와 방법

증시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며 IPO와 공모주 시장이 활기를 찾고 있다. 공모주 청약은 주택 청약과 비슷한 구조다. 새로 나오는 주식을 미리 사서 비싼 가격에 되팔 수 있다. 새해 신규 상장한 미래반도체 등 5개 기업의 주가는 공모가 대비 평균적으로 약 150%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공모주라고 늘 오른다고는 할 수 없지만 확률이 높은 편이다. 공모주 청약 절차와 방법을 살펴본다. 관련 용어는 아래 글을 참고. 주식회사, IPO, 상장의 개념 및 관계 주식회사와 IPO, 그리고 상장. 경제 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들이다. 경제 용어를 익힐 때 굳이 하나씩 나눠서 볼 필요는 없다. 연결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셋의 관계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 mcguffin.tistory.com 공모주 청약이란? 신제품..

ESG가 뜨는 이유와 투자 인사이트

어느 기업이 ESG 경영을 강화하네, 어느 기업은 ESG 등급이 올랐네 하는 말이 있다. ESG가 무엇이길래 계속 언급되는지 알아보고 투자에의 인사이트를 얻는다. ESG란? ESG는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앞 글자를 딴 말이다. 환경(E)과 사회(S), 지배구조(G)를 의미한다.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중요한 3가지 요소를 일컫는다. 기업은 이익 집단이기에 돈을 잘 벌면 끝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ESG는 아니다. 기업이 환경과 사회적 책임을 생각하면서 경영도 투명하게 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야 지속 가능한 경영이 가능하댄다. 물론 말은 좋다. 그런데 ESG를 실천하려는 기업이 많아지는 건 왜일까? ESG가 뜨는 이유 돈, 명예, 권력 중에 고른다면? 돈과 명예, ..

주식회사, IPO, 상장의 개념 및 관계

주식회사와 IPO, 그리고 상장. 경제 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들이다. 경제 용어를 익힐 때 굳이 하나씩 나눠서 볼 필요는 없다. 연결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셋의 관계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이렇다. 투자금으로 굴러가는 주식회사는 IPO(기업공개)를 통해 공개시장에 상장함으로써 더 많은 투자금을 받아 기업 확장을 꾀할 수 있다. 주식회사 회사의 종류 회사는 조직의 한 유형으로 직장, 또는 기업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 상법에서는 회사 종류를 다섯으로 구분한다. 합명회사, 합자회사, 유한회사, 유한책임회사, 주식회사다. 회사 종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 TOEIC 위원회 공식 블로그에 올라온 아래 글을 참고하면 되겠다. 토익이 취업과 긴밀한 연관이 있다보니 이런 글도 올리는 듯하다. 유한회사? ..

레고랜드 사태와 부동산PF

레고랜드 사태는 2022년 9월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발표에서 시작됐다. 나비의 작은 날갯짓이 태풍을 만들 수 있다는 나비효과처럼, 어떻게 도지사의 발표가 채권과 부동산PF 시장에 혼란을 가져오게 됐는지 살펴본다. 레고랜드 사태 사업 개요 강원도가 영국의 테마파크 기업 멀린 엔터테인먼트와 춘천시에 레고 테마 놀이공원을 건설하기로 하고, 2012년 시행사인 강원중도개발공사(GJC)를 설립했다. 시행사 설립 10년 뒤인 2022년 5월에 레고랜드가 개장했다. 현재는 동절기 임시 휴장에 들어가 3월 23일까지 이용할 수 없다. 땅 사고 놀이공원을 지으면 끝이 아닌가 생각할 수 있다. 사실 맞는 말이지만, 많은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진다. 레고랜드 사태가 발생한 배경과 파급 효과를 이해하려면 먼저 부..

데드 캣 바운스, 저가 매수의 허점

증시 용어 중 흥미로운 개념을 소개한다. 영화 '빅쇼트(The Big Short)'의 실제 주인공인 마이클 버리(Muchael Burry)가 2023년 새해의 증시 상승세를 지목하며 데드 캣 바운스를 언급했다. 흔히 주식 투자는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서 파는 것이라는데, 데드 캣 바운스는 무릎에서 사도 발목으로 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저가 매수의 허점을 데드 캣 바운스를 통해 알아본다. 데드 캣 바운스란? 데드 캣 바운스(Dead Cat Bounce)는 증시가 하락하다 일시적인 상승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죽은 고양이라도 높은 곳에서 떨어뜨리면 잠시 튀어 오른다는 의미로, 1980년대 영국 증권가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다. 2020년과 2023년 비교 둘의 공통점은 증시가 큰 하락을 보였다는..

딜 사례로 보는 M&A(인수합병) 방식

경제 뉴스에 빠지지 않는 키워드가 M&A다. 딜 사례를 통해 M&A(인수합병)의 방식을 살펴본다. M&A란? M&A란 인수와 합병을 묶어 부르는 말로, 외부의 경영자원을 활용해 기업 성장의 발판으로 삼는 제반과정이자 발전전략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기업이 덩치를 키우는 방법이다. 'Merger(합병)'과 'Acquistion(인수)'을 뜻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앞 뒤 순서를 바꿔 인수합병으로 통칭한다. M&A의 유형과 방식 크게 인수와 합병으로 구분한다. M&A 대상 및 방식에 따른 구분 인수(Acqusistion) 인수 대상 주식인수 영업양수도 자산양수도 합병(Merger) 합병 방식 흡수합병 신설합병 인수(Acqusision) 방식과 사례 주식인수 I 오스템임플란트(048260) 주식인수는 일반적으로 가..

주식 종목코드의 의미와 체계

주식 종목에는 005930(삼성전자), 000660(SK하이닉스), 373220(LG에너지솔루션)처럼 여섯 자리의 숫자가 붙는다. 종목코드라고 불리는 이 번호들이 무슨 의미를 가지며 어떤 체계로 이루어져있는지 살펴본다. 종목코드란? 종목코드는 모든 증권상품에 부여된 12자리 고유번호로, 공식 명칭은 증권표준코드다. 해외에서는 국제증권식별번호(ISIN·International Securities Identification Number)라고 하며 국가별로 1개의 기관이 발급·관리한다. 우리나라의 발급기관은 한국거래소다. 도입 배경과 구성 편의 도모를 이유로 도입됐다. 국제 증권거래가 증가하고, 모든 금융거래의 과정이 전산시스템을 통해 처리됨에 따라 매매·결제·관리 등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다. 국가식별코드(2..

코로나발 양적완화와 테이퍼링, 어디까지 왔나

현재 코스피 상승 흐름의 핵심적인 키워드는 '외국인 투자자'다. 지금처럼 국내 증시 거래대금이 위축된 상황에서는 수급이 중요해진다. 외국인이 무엇을 보고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기 위해 글로벌 경제와 정책 기조를 살펴야 한다. 양적완화와 테이퍼링의 개념에 대해 정리하고 코로나 이후 어느 지점까지 왔는지, 왜 외국인이 들어오며 주가가 상승세를 탔는지를 짚어본다. 양적완화란 양적완화(QE·Quantitative Easing)는 침체된 경기의 회복을 위해 중앙은행이 돈을 푸는 행위다. 시장에 돈이 돌아야 경제가 활발해진다. 금융당국은 이를 위해 초저금리 정책을 펼 수 있다. 돈을 빌려도 이자가 없거나 아주 적으면, 돈을 쉽게 빌려 쓰니 경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제로금리에서도 경제 활성화가 안 되면 ..

주식 매매 구조와 매수 및 매도 옵션

흔히 매수와 매도가 주식 투자의 전부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아니다. 주식 매매 구조를 이해하고 다양한 매수·매도 옵션을 익힐수록 선택지가 많아진다. 주식 매매 구조와 매수 및 매도 옵션을 정리한다. 주식 매매 구조 매매 구조와 체결 기준 매수·매도 버튼을 누르는 것은 체결이 아니라 주문을 의미한다. 투자자는 매매 주문을 넣고, 증권거래소에서 경쟁매매 방식에 따라 매매를 체결시키는 구조다. 경쟁매매는 복수의 매수·매도자 간 경쟁에 의한 매매로, 매수·매도자가 협의해 가격을 정하는 상대매매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경쟁매매에서 수많은 주문 중 어느 주문을 먼저 체결시킬지의 기준은 아래의 원칙을 따른다. 호가란 거래하고자 하는 가격이다. 위탁매매우선의 원칙은 수량우선의 원칙에 우선한다. 가격우선의 원칙 저가의 매..

리먼 사태와 2008년 금융위기

경기침체가 가시화 될 때마다 비교 대상으로 언급되는 키워드가 있다. 바로 2008년 금융위기다. 미국의 최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Goldman Sachs)가 최대 3,200명에 달하는 직원의 정리해고를 감행한다는 소식에, 언론들은 앞다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의 감원이라는 보도를 내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가 대체 무엇이길래 이토록 끊임없이 언급되는지, 또한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이 왜 시발점이 됐는지, 서브프라임 모기지를 중심으로 그 원인과 배경에 대해 알아본다. 리먼 사태 2008년 미국의 세계적 투자은행 리먼 브라더스(Lehman Brothers)가 파산하며 시작된 세계 금융위기를 리먼 브라더스 사태, 줄여서 리먼 사태라고 한다. 금융위기의 근본적 원인은 서브프라임 모기지에 있다. 다만 ..

반응형